3월, 2017의 게시물 표시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하여 IPTV, 유튜브 시청을 해보자.

이미지
예전에 라즈베리파이라는 미니싱글보드를 샀다. 별 이유는 없고 크기가 작고 쓸만한 일이 많아 보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몇년이 흘렀다. 드디어 실생활에서도 쓸만한 방법을 찾았다. 바로 TV에 연결하여 인터넷만으로 TV시청이나 인터넷방송을 본다는 것! (하지만 대단하진 않다.) 물건도 있으니 바로 실행해보자.   서랍에 몇년동안 썩혀있던 라즈베리파이라는 컴퓨터이다. 정확히는 라즈베리파이2 B+ 이고 쓸만하지 못했다. 그러나 지금은 다른게 usb와이파이를 호환해줘서 무선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다. 정말... 시대가 점점 좋아진다.   라즈베리파이에 OSMC라는 프로그램을 깔아서 구동시킨다. 구글에raspberry pi 라고 치면 나오고 인터넷에 사용법도 있다. 세상참 좋다.  유튜브를 시청도 해보고  유튜브 자체만으로도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하지만 방송이 적기 때문에 다 볼 순 없지만 인기있는 프로그램들은 왠만하면 볼 수 있다. 한가지 문제점이 있다. 사용법이복잡하다는것... 여러가지 설정과 유튜브의 겨우 개인 API라는것을 등록시켜야하고 API key와 ID가 정말 읽기 힘들다. 그리고 iptv는 공식지원이 아니라서 업데이트 해줘야 한다. 더 쉬운 방법을 올리겠다. 안쓰는 휴대폰이 있는 사람이라면 볼만하다. 추가자료! USB와이파이만 달고아무것도 안달았는데 어떻게 조작하는 것인지에 대한 궁금증이 있을까봐 추가했다. 키보드를 꽂고 추가 설정을 해주면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리모컨기능을 쓸 수 있다. 단, 같은 네트워크안에서만 가능하다. 예를들어 와이파이공유기를 두개를 쓰는데 TV쪽은 A를 쓰고 스마트폰은 B를 쓰면 되지 않는다. 따로더 설정을 해주면되지만 편하게 살자. 그리고 스마트폰의 화면을 티비에 띄우는게 더 편하다.

무선 MHL 동글을 이용하여 방송보기

이미지
사실이 일의 시작은 아버지를 위해서 한겁니다. 아버지가 독실한 기독교 신자시고장기를 좋아하셔서 어떤 시간이든지 보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시작한것입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용산을 가서 무선MHL동글을 샀습니다. 가격은 3만원... 누나줄려고 와이파이 동글도 샀습니다. 구성품에 설명서도 있지만 전 설명서 따윈 보지 않는 남자입니다. 일단 위의 휴대폰선을 동글의 꽃는 구멍에 연결해줍니다. 제품마다 꽃는곳이 다르고 디자인도 다르나, 대부분 비슷한 기능을 하므로 쉽게 하실 수 있습니다. TV에 HDMI 포트에 꽃아주세요. USB선은 TV에 꽂을 수 없다면 USB충전기를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해주면 됩니다. 카메라를 확대해서 찍으니 화질이 안좋네요.... 리모컨으로 외부입력을 누릅니다.(외부입력 메뉴) 그러면 HDMI라고 써져있는 란이 뜸니다. 그곳으로 이동하여 선택해주세요. 외부입력은 TV에 있는 버튼으로도 할 수 있습니다.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찾이 나오는데 이번엔 휴대폰에서 설정을 들어가줘야 합니다. 설정에 들어가면 콘텐츠 공유 및 기기 연결이 있습니다. 들어갑시다. 화면에 보이는 Miracast가 있습니다. 크걸 클릭해주시면... 횡한 화면이 뜨는데요. 상단 오른쪽에 OFF를 ON으로 바꿔주세요.  그러면 tv에 뭔가 입력되더니 스마트폰 화면이 tv에 나올겁니다. 사진을 찍어야 되는데 시공의 폭풍이..... 옆에 각질크림도 시공의 폭풍으로 빨려갔네요. 이제 해야될 일은 유튜브로 시청을 하시거나 DMB를 사용하여 큰 화면으로 보는것입니다. 안쓰는 스마트폰이 있으시면 충전기에 꽂아두고 24시간 TV시청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폰 게임의 화면을 크게해서 즐길 수 있지만... 전 게임 안합니다.

LED전구 과연 쓸만할까?

이미지
LED전구가 나온지 꾀 됐습니다. 저도 세상살면서 처음으로 LED전등이 들어간 집에 살게 됐는데요.... 엄청 밝습니다!! 굉장하다!! 처음엔 이랬는데 막상 시간이 지나니 무덤덤합니다. (그래도 거실등은 한개만 켜두고 사용하는데 3개 다키면 아직도 놀랍니다. 마치 드래곤볼의 크리링이 태양권을 쓰는듯한 밝기였어요.) 현재 집에서 쓰고 있는 LED 전등은 판넬형식입니다. 어떤겨냐면요... 이렇게 생겼습니다.오른쪽위 네모난거에 선 묶음 2개가 있는데 거기에 밑에 판넬을 끼는 선이구요. 왼쪽은 AC220V 연결하는 거예요. 초록색선은 접지선이라고 정전기나 정격방지용으로 쓰는겁니다. 스펙을 보아하면... 컨버터의 스펙은 이렇습니다. 판넬 하나당 15W정도 되는데 제방엔 컨버터 2개에 판넬 4개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2년도 안되서 판넬이 나가버리는 것인데요.... 오래간다더니 참 난감하네요. 문제는 회로가 안정치 않은 것 같습니다. 컨버터를 뜯어볼수도 없고.. 답답하죠... 사실 저 위의 사진들에 나온거 나가서 산겁니다.... 아버지가.... 업자에게 부탁하니 5만원 달라고 하더라구요. 돈의 부담이 너무 되서 누나방과 거실은 했는데 제방은 제가 거절했습니다. 업자도 업자지만 돈을 너무 쓰시는 아버지에게 등짝스매쉬를 했습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LED전구를 알아보겠습니다. 백열전구부터 LED전구까지 이어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바로 특유의 둥글둥글한 나사인데요. 왜 이렇게 만들었을까...? 둥근나사의 특성은 이렇습니다. 1. 세게 조일필요가 없슴. 2.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쉽게 풀고 조일수가 있음. 3.(가장 중요한거)전구일 시 접촉면 사이에 이물질이 들어가도 작동할 수 있으며 진동이 강한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3번째는 다시말해 지진이 일어나도 전력이 끊기지 않는다면 무사히 작동할 수 있다는거...

엔진 자전거 만들기

이미지
저는 멀미를 합니다. 다행히 버스는 탈 순 있지만 앞좌석에만 있어야 하고 창문만 바라봐야합니다. ㅜㅜ 그래서 오토바이를 살려 했지만 돈이 많이들고(근데 이것도 많이 들었다....) 중고로 살려해보니 변변치않은것들이 많았다. 좀더 싸게 구하고 유지비가 적게 들면서 쓸만한거 없을까 하다가 엔진 자전거를 찾았다. 세계대전때 나온물건이라 유럽에서 많이 사용한거 같다. 자료를 찾다보니 3바퀴짜리 자전거에 간이쇼파같이 되있는 자전거에 엔진달아서 아내랑 드라이브가는 영상도 있었다. 아무튼 만들어보자!! 엔진을 샀습니다. 80cc로 샀는데 50cc로 사도 괜찮았던것 같습니다. 점화플러그는 예초기엔진에서 사용하는거랑 똑같습니다. 키트라곤 하나 구멍이 안뚤려있는것도 있습니다. 제품불량이죠. 가끔 이렇게 휘여있는 볼트라던가 나사가 금방 망가지기도 합니다. 산지도 얼마 안됐는데 금방 망가져서 좀 어의가 없었죠. 볼트라던가 너트가 뭉개지면 운전중에 풀어집니다. 주행 후 꼭 확인해줘야하고 너트는 이중으로 해줍시다. 여유분이 있다면요. 그리고 제품불량은 전화하면 멀쩡한거 줍니다. 저는 멋을내기 위해 픽시를 샀는데 괸히 산거 같습니다. 체인과 자전거프레임이 서로 비벼대서 페인트도 벗겨지고 흡집이 납니다. 자전거사이즈 문제라 어찌할 수 없습니다. 아무튼 픽시자전거의 뒷바퀴엔 양쪽에 기어가 있습니다. 하나는 바퀴가 돌아가면 페달도 돌아가는 쪽이고 한쪽은 페달이 굴러가지 않는 기어입니다. 당연히 고정된 기어를 제거했습니다. 부품이 따로 없기에 근처 자건거집에서 떼달라고 했습니다. 바퀴가 어떤바퀴인지도 중요합니다. 바퀴의 중심(허브)가 크면 위 사진의 기어가 안들어갑니다. 들어가도 중심이 안맞아서 편축되어버리죠. 픽시자전거의 기본 휠은 허브가 커서 안들어갔습니다. 사이클용 휠을 사서 조립했습니다. ㅠㅠ 엔진을 올렸습니다. 이 부분, 나사가 구동중에 뭉개지는 어의없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