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시안테나 사용기

이미지
제 방 인터넷 모뎀이 맛이 가버렸습니다. 지금은 고쳤지만 그동안 거실의 와이파이를 사용하며 지냈습니다. 근데 와이파이 거리가 그렇듯.... 신호가 잘 안잡혀요.... 처음엔 와이파이 증폭기를 사용했습니다. IPtime의 와이파이 증폭기입니다. 누나도 와이파이를 쓰기에 누나와 내방의 중간지점인 부엌에 설치했습니다. 그래도 와이파이신호는 70%정도 밖에 안나옵니다. 잘나오는 편입니다. 스마트폰을 사용할때도 무리없고 컴퓨터로 인터넷을 사용해도 무리없습니다. 5dBi입니다. 여기서 뜬금없는 놈이 등장합니다. 접시형 안테나인데 원래 다른목적이 있어서 산놈입니다. 2Km정도 되는 원거리 통신을 할려고 산놈입니다. 근데 이 제품을 파는 사람마다 설명이 다른데 10dBi라는 사람이 있고 18dBi라는 사람이 있습니다. 출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걸로 해석하겠습니다. 제품 설명서나 제조사 사이트를 보면 알겠지만 10dBi라고 되있군요. 나중에 출력에 따라 얼마나 늘어나는지 실험해보겠습니다. iptime N150UA입니다. 이녀석을 달아서 써보았습니다. 결과는 매우 실망적입니다. 출력의 한계인지 15~20%정도 올라서 만족했는데 다시 떨어짐니다. 안테나 방향을 잘못잡은것인지 99%까지 올라갔지만 일정치 못하고 다시 떨어짐니다. 아무래도 접시안테나라서 신호를 잘 못잡는건지 아니면 USB와이파이가 출력이 제한되서 그런지 실망스러운 결과였습니다. 하지만 75%이하로는 떨어지진 않는데 접시안테나의 특성인 지향성때문인 것 같습니다. 이 글은 아직 무지향성안테나가 오기전에 쓴 글입니다.

담배를 해외구매했는데 황당한일...

이미지
저저번달에 코담배를 시켰는데 어의없는일이 발생했다.   세관을 통과하기전에 물품이 파손되어 쏟아졌다는 통보를 받았으나 그냥 보내달라고 했다.   그런데 세관에서는 75g이니 이만큼 돈을 내라고 한다. ??? 한통에 25g이니 3통이면 맞지만 파손된 한통의 내용물을 확인하지 않고 원래대로의 세금을 내라니... 일단세금은 냈으나 그다음 문자를 보내도 통보는 받을 수 없었다. 담배 나쁜거 안다. 하지만 간접흡연이 더 나빠서 안좋다. 그래서 간접흡연 없는걸로 산건데.... 아무튼 취지야 어떻든 무게를 확인하고 검사했으면 좋겠다. 세관 너무 대충일하는거 아닌지....

나무로 가는 목탄차 어? 괜찮은데?

이미지
예전 뉴스에서 나무로 가는 자동차를 보았다. 북한에서 자원부족으로 인해 목탄차를 고쳐 다시 운행한 것인데 효율은 당연히 기존 자동차들보다 떨어진다. 나무떼우면서 나는 연기로 엔진돌리는데 효율이 떨어지는건 당연하다. 하지만 내가 여기서 주목한것이 있다. 현대기술로 제작하면 환경규제를 지킬 수 있는가? 같은 비용으로 얼마나 많은 운동을 할 수 있나? 여기서 인터넷에 가격을 알아봤다. 우드펠렛(톱밥을 압착시킨 장작) 20키로가 9천원대이다. 일단 영상을 보자 이 유튜브 사람 말로는 휘발유 1리터에 장작 3키로가 필요하다고 한다. 동영상 보신 자동차 전문가들은 알겠지만 좀 오래된 차다. 원래 발명된 시기가 워낙 오래됐고 북한도 쓸 수 있을정도로 기술난이도가 높지 않다. (아마 환경규제에 들어가는 기술이 최신식일듯) 두번째 영상을 보자 이사람은 저 나라의 환경규제를 통과하는 수준의 자동차를 만들었다. 물론 출력은 낮아 시속 100도 아슬아슬하게 나오지만 기름값은 굳는다. 이 두 영상을 볼때 우리나라에 적용하여 운행할 수 있는 차가 있느냐는 질문엔....? 당연히 NO 다. 차량정차가 많은 우리나라에서는 정차시 목재는 타고 있을테고 귀향길같은 상황에서 연료통 열고 연료집어넣는 행위를 할 수 없다. 그리고 말했다싶이 효율이 안좋다. 하지만 다른용도로 쓴다면 어떨까? 예를들어 발전기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다. 연료는 석탄으로 하면 된다. 석탄은 석유보다 5배 싸고 세계에 널렸다. 실제 인터넷에 석탄은 20키로에 만원에 팔리고 있다. 나무보다 석탄이 더 오래타고 열량도 크다는건 산업혁명때 밝혀진 사실이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사실은 목탄엔진은 미연소가스로 돌아가는 것이다. 석탄이 타는 열로 나는 에너지는 목욕물이나 난방, 마개조스러운 증기엔진을 돌리면 된다. 열을 버리지 않고 활용하며 싼값으로 가정에...

19dBi 안테나를 사와서 일반 usb랜에 꽂아봤다.

이미지
  해외구매로 산 장거리 와이파이를 샀는데 아직 오질 않아서 그냥 웹서핑중에 19dbi짜리 안테나가 있길래 사봤다. 아직 모뎀도 없고 일단 집에 있는 IPTIME N150UA에 연결해 봤다.   원래 안테나인데 무지 작다. 내 중지손가락 보다 약간 더 긴정도.    신호세기로 정렬이 안되어 있는데 거실에 있던 공유기신호가 무려 30퍼센트 가까이 올라갔다.(그냥 70퍼센트에서 100퍼센트로 올라갔다.) 외부 신호들도 올라갔고 안집히던것들이 잡히기 시작한다. 나의 스마트폰은 데이터 무제한이 아니라서 포켓파이를 들고다닌다. 그리고 슈퍼를 들를때나 담배필때 밖에 나가는데 포켓파이들고다니기가 번거로워 몇번은 폰만들고 나간다. 일단 iptime에서 usb모뎀 분류에서 다운로드 드라이버를 찾는다. 그리고 다운 받은 다음 실행하면 위에 같은 그림이 뜬다. AP + STA 모드로 한다음 신호를 받음과 동시에 뿌려서 얼마나 가나 실험해봤다. 일단 윗층 아랫층 계단까지는 잘되는데 옥상을 올라가면 겨우 잡힌다. 신호가 약해서 겨우 잡히는데 아무래도 모뎀의 출력이 약해서 그런 것 같다. 기본 안테나로는 범위가 약했지만 안테나를 바꾼 후 범위가 늘어났다. 허나 출력이 약해 중계기로는 쓸만하진 않다. 일단 해외구매 오면 다시 올리겠습니다.

무선 트랙볼키보드 사용후기

이미지
저처럼 게임하는데 마우스 안쓰시고 마우스사용에 불편함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트랙볼 마우스가 얼마나 편한지 모르실겁니다. 처음에는 스팀컨트롤러를 사용하여 마우스 대신 썼지만.. 한글키패드 지원이 안되고 스팀을 켜야한다는 불편함이 있죠... 마우스 대용으로 쓰다가 이참에 트랙볼과 키보드가 융합된 키보드로 바꾸자!라고 결심했습니다. 무선 트랙볼 키보드입니다. 손바닥 두개 보다 큰편이고 오른쪽 은구슬이 트랙볼입니다. 트랙볼은 옛날 볼마우스와 다르게 광마우스식입니다. 청소할 필요가 없을듯합니다. 무선동글입니다. 살때 키보드 하단에 보면 꽂아져있습니다. 컴퓨터에 빡빡하게 들어가는데 뺄때도 잘 안빠짐니다. 개인적으로 이 빡빡함이 좋군요 뒤집어보면 이렇게 꽂혀있습니다. 신호가 가질 않는다면 사진 아래에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굉장히 실망스러운 부분입니다. 바로 건전지가 aaa사이즈인데요... 개인적으로 aa사이즈를 좋아합니다. 사람마다 충전식이든 건전지식이든 호불호가 갈리는데 저는 건전지파입니다. 충전하며 사용하고 싶다면 충전용 건전지를 사면 되고 배터리 교체시 큰돈들이지 않아서 좋습니다. 요즘은 물을 주입하면 충전되는 물건전지가 있다고 하는데... 그런거에 훅하지 마시고 그냥 다이소나 대형마트에서 건전지 묶음을 사시는것도 괜찮습니다. 그리고... 대망의 사용 후기...솔찍하게 씀니다. 트랙볼이 가끔 안굴러갑니다. 힘줘서 굴리거나 옆으로 밀어 올리듯이 해주면 잘돌아갑니다. 이 모델은 소형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키보드 치기가 힘듬니다. 독수리 타법으로 쳐야 되는데 많이 어렵네요.. 10인치 이하 미니 노트북 치는거랑 비슷하다고 보면 됩니다. 키보드 양쪽에 버튼이 있어서 잡기 힘들겠다고 많이 생각했는데 의외로 거슬리지 않습니다. 그리고 양쪽의 버튼이 소리버튼이나 미디어 버튼인데 위도우 사용자들에게는 좋습니다. 리눅스 사용자들에게도 볼륨버튼은 사용이 되나 미디어버튼은 되지 않네요. 윈도우에서는 90%의 모든 키가 ...

갑자기 번뜩 떠오른 아이디어

한국의 서울에 살면서 사방이 인터넷. 와이파이로 둘러 싸였다는건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그리고 데이터를 많이 사용하는 사람은 데이터 무제한을 쓰기도 하고 와이파이를 쓰기도 한다. 그런데 한가지 불만점이 있다. 왜 통화료나 문자료와 데이터비용을 따로내는가? 인터넷 전화가 보급된 세상에 통화료 따로 데이터비용 따로내는건 뭔가 아니다 싶다. 그래서 사람들은 인터넷전화 어플이라던가 인터넷을 이용한 문자 어플을 사용한다. 또한가지 문제점이라면.... 스마트폰의 가격이라는 점이다. 최신스마트폰이 100만원이 넘어간다. 물론 비싸면 성능이 좋고 값어치를 한다고 생각하겠지만.... PC보다는 아니며 기능이 많은것도 아니다. 이 두가지 불만점을 하나로 해결해주는 아이디어가 떠올랐다. 1. 원격제어기능과 무선인터넷 기능만 있는 휴대용터치스크린을 만들어 판다. 2. 컴퓨터에 안드로이드라던지 아이폰 os 기능을 해주는 프로그램을 깐다. 3. 돌아니면서 휴대폰을 사용한다. (이때 포켓파이라던가 통신사 인터넷모듈을 사용하여 무선인터넷을 하던가 이건 마음대로) 집에있는컴퓨터를 사용하면 너 나은 기능을 쓸 수 있고 기존 스마트폰보다 값싸게 살 수 있으며 와이파이가 사방에 널린 서울같은 환경이라면 데이터비용을 내지 않고도 살 수 있다. 또한 인터넷통화도 가능하니 카카오톡의 보이스톡만으로도 기존통화를 대신할 수 있다.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하여 IPTV, 유튜브 시청을 해보자.

이미지
예전에 라즈베리파이라는 미니싱글보드를 샀다. 별 이유는 없고 크기가 작고 쓸만한 일이 많아 보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몇년이 흘렀다. 드디어 실생활에서도 쓸만한 방법을 찾았다. 바로 TV에 연결하여 인터넷만으로 TV시청이나 인터넷방송을 본다는 것! (하지만 대단하진 않다.) 물건도 있으니 바로 실행해보자.   서랍에 몇년동안 썩혀있던 라즈베리파이라는 컴퓨터이다. 정확히는 라즈베리파이2 B+ 이고 쓸만하지 못했다. 그러나 지금은 다른게 usb와이파이를 호환해줘서 무선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다. 정말... 시대가 점점 좋아진다.   라즈베리파이에 OSMC라는 프로그램을 깔아서 구동시킨다. 구글에raspberry pi 라고 치면 나오고 인터넷에 사용법도 있다. 세상참 좋다.  유튜브를 시청도 해보고  유튜브 자체만으로도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하지만 방송이 적기 때문에 다 볼 순 없지만 인기있는 프로그램들은 왠만하면 볼 수 있다. 한가지 문제점이 있다. 사용법이복잡하다는것... 여러가지 설정과 유튜브의 겨우 개인 API라는것을 등록시켜야하고 API key와 ID가 정말 읽기 힘들다. 그리고 iptv는 공식지원이 아니라서 업데이트 해줘야 한다. 더 쉬운 방법을 올리겠다. 안쓰는 휴대폰이 있는 사람이라면 볼만하다. 추가자료! USB와이파이만 달고아무것도 안달았는데 어떻게 조작하는 것인지에 대한 궁금증이 있을까봐 추가했다. 키보드를 꽂고 추가 설정을 해주면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리모컨기능을 쓸 수 있다. 단, 같은 네트워크안에서만 가능하다. 예를들어 와이파이공유기를 두개를 쓰는데 TV쪽은 A를 쓰고 스마트폰은 B를 쓰면 되지 않는다. 따로더 설정을 해주면되지만 편하게 살자. 그리고 스마트폰의 화면을 티비에 띄우는게 더 편하다.